블로그 (Blog)

다양한 IT 관련 주제들에 대해 정보를 공유하는 공간입니다.


가상화 (Virtualization)

Hyper-V 가상스위치 설정 브릿지 모드


OS 관련해서 내 PC에서 다양한 테스트를 하기 위해서는 호스트 가상화 프로그램을 이용하게? 됩니다.

VMWARE Workstation, Hyper-V, Virtualbox 등이 있으며 선택을 할 수 있게 되며 여기서는 윈도우 자체에 포함하고 있는 Hyper-V를 사용하겠습니다.

가상 운영체제(VM - Virtual Machine)를 설치하고 나면 내 PC와 VM 간의 통신을 위해서는 VM의 네트워크가 브릿지모드로 설정되어 있어야 가능하게 됩니다.

아래와 같이 VM은 Hyper-V의 가상 스위치의 브릿지 모드 설정을 통해 호스트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되는 구조입니다.

이런 구성 상 VM에 웹서버를 구축했다면 호스트 PC에서 브라우저를 통해 해당 VM의 웹 서비스를 호출할 수 있게 됩니다.

Hyper-V 브릿지 모드 설정

위와 같이 Hyper-V의 가상스위치 관리자에서 진행
1) 외부네트워크 선택
2) 실제 물리적인 NIC 선택
3) 아래에 위치한 "관리 운영 체제에서 이 네트워크 어댑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허용"을 체크하면 브릿지 모드로 동작

만약 위와 같이 설정했음에도 불구하고 브릿지 모드로 동작하지 않는다면 네트워크 환경에서 모든 가상 NIC를 삭제한 후 Hyper-V도 제거한 뒤 재설치 해주면 됩니다.









좋아요   2 명이 좋아합니다.
코멘트 (0)

- 코멘트 (Comment)를 남겨주세요!




이전 글  
다음 글   윈도우10 Hyper-V 브릿지모드 설정 후 블루스크린 현상